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오늘부터 1차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시작됐습니다. 어디서 사용할 수 있는지, 제한 업종은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려드립니다.
소비쿠폰 사용 가능한 업종
민생소비쿠폰은 지역 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매장 중심으로 사용이 제한됩니다. 사용 가능한 주요 업종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전통시장 및 동네 슈퍼마켓
- 중소형 마트 (이마트 에브리데이, 롯데슈퍼 등 일부 가맹점 포함)
- 식당, 분식집, 제과점, 카페 등 일반 음식점
- 병원, 약국, 치과, 한의원, 동물병원
- 미용실, 세탁소, 안경점, 사진관
- 학원, 독서실, 어린이집, 유치원 등 교육시설
- 서점, 문구점, 꽃집, 철물점 등 생활 밀접 소매점
- 택시, 지역 대중교통 카드 결제 일부 가능
지류형 쿠폰은 주로 전통시장과 오프라인 매장에서 직접 사용 가능하며, 모바일형 소비쿠폰(제로페이 앱 등)은 QR 결제 기반으로 사용됩니다.
사용이 제한되는 업종
소비쿠폰은 실제 지역경제에 도움이 되는 업종에서만 사용하도록 제한되어 있으며, 다음 업종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 대형마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 등)
- 백화점 및 아웃렛 (현대, 롯데, 신세계 등)
- 온라인 쇼핑몰 (쿠팡, 11번가, G마켓 등)
- 면세점, 유흥주점, 노래방, 카지노, 단란주점
- 골프장, 고급 음식점, 마사지샵 등 고가 사치업종
- 프랜차이즈 직영 매장 (스타벅스, 맥도널드 일부)
- 자동차 판매, 부동산 중개업, 귀금속 매장 등
일부 프랜차이즈 가맹점도 가맹 여부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결제 전 매장에서 “지역사랑상품권/제로페이 가맹점”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사용처 확인 방법
소비쿠폰 사용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제로페이 앱 (비플제로페이, 체크페이 등) → 앱 내 ‘가맹점 찾기’ 메뉴에서 지역 및 업종 검색 가능
- 지역사랑상품권 공식 홈페이지 → 각 지자체별 가맹점 목록 확인 가능 (www.localpay.kr)
- 지류형 쿠폰 배포 시 동봉된 안내문 → 동네 가맹점 명단이 함께 제공됨
- 현장 매장 포스터 또는 안내문 → “지역사랑상품권 가맹점” 스티커가 부착되어 있는지 확인
사용 기한 및 금액 정보
- 신청 기간: 2025년 7월 21일 (월)
- 사용 마감일: 2025.11.30(일), (쿠폰 종류별 상이)
- 잔액 소멸 주의: 사용기한 초과 시 잔액 자동 소멸
- 사용 금액 한도: 지급 금액 1인당 (15 ~ 45만 원) 내 자유롭게 사용 가능
일부 지자체는 추가 사용처 확대를 검토 중이며, 가맹점 수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마무리
2025년 1차 민생소비쿠폰은 단순한 현금성 지원이 아니라, 지역 상권을 살리는 소중한 자금입니다. 정확한 사용처를 알고 활용하면 실질적인 소비 혜택을 누릴 수 있으며, 소상공인에게도 큰 힘이 됩니다.
사용 전 꼭 가맹점 여부 확인, 기한 내에 전액 사용, 그리고 주변 가족에게 정보 공유하는 걸권해 드립니다.
반응형